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기존의 CSS에서는 특정 요소 안에 들어가는 배경 이미지의 크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었습니다. 결국, 일일이 해당 박스의 크기에 맞게 포토샵에서 이미지의 사이즈를 조절해야 했지만 CSS3의 background-size를 이용하면 배경에 들어갈 이미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리사이즈할 수 있습니다.


    (1) background-size : 넓이 값    높이 값;

          background-size : cover;

          background-size : contain;

     

    배경 이미지의 크기를 지정하는 데에는 3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풀 스크린 환경에서의 배경 이미지 사이즈는 background-size:cover;를 주로 활용합니다.


    다음의 예제를 통해 background-size의 기본 개념을 숙지해 보겠습니다.

    <!DOCTYPE html>
    <html lang="ko">
    <head>
    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    <title>gradient</title>
        <style>
            div {
                width: 800px;
                height: 600px;
                margin: 50px auto;
                border: 1px solid #000;
                background: url(puppy.jpg) no-repeat center center;
            }
            div:nth-child(1) { background-size: 600px 400px;}
            div:nth-child(2) { background-size: cover; }
            div:nth-child(3) { background-size: contain; }
        </style>
    </head>
    <body>
        <div></div>
        <div></div>
        <div></div>
    </body>
    </html>

    <div> 태그에 공통으로 배경 이미지를 지정하고 각각의 순서에 맞게 배경 이미지의 사이즈를 고정값, cover, contain으로 설정합니다.

     

    ▲ background-size: 600px 400px;
    ▲ background-size: cover;
    ▲ background-size: contain;

    첫 번째 배경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의 비율은 무시된 채 지정된 넓이 값과 높이 값으로 설정되었으며, 두 번째 이미지는 비록 좌우는 잘렸지만 해당 요소 안에 빈 여백이 없이 채워졌습니다. 마지막 이미지는 상하에 여백이 생겼지만, 전체 이미지가 잘린 곳 없이 해당 요소 안에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반응형